본문 바로가기
생활 & 라이프스타일

전통시장 할인카드 vs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뭐가 더 이득일까?

by 함께 찾는 한걸음 라이프 2025. 4. 9.

반응형

 

요즘 장 보러 전통시장 가보셨나요?
예전에는 "현금만 가능해서 불편하다"는 인식이 많았지만, 요즘은 신용카드, 체크카드는 물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과 제로페이까지 다양한 결제가 가능합니다. 특히 정부와 카드사들이 손잡고 진행하는 할인 혜택은 생각보다 크고 알찹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시장 할인카드 vs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중, 과연 어떤 게 더 이득인지 혜택을 비교해 봅니다.


전통시장 할인카드 혜택 요약

카드사혜택 내용
롯데카드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1만원 이상 결제 시 1000원 할인 (매일 1회, 월 최대 5000원 할인)
신한카드 전통시장사랑 체크카드로 1만원 이상 결제 시 5% 캐시백 (월 최대 5000원), 앱 쿠폰 사용 시 3000원 추가 혜택
하나카드 ‘백년가게’ 결제 시 10% 청구 할인, 3만원 이상 이용 시 최대 1만원까지 혜택
우리카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5만원 이상 결제 시 추첨 통해 5만원 캐시백, 편의점 쿠폰 등 부가 혜택

카드사마다 중복 적용되지는 않지만, 각자의 혜택 조건이 다양하므로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혜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상품권을 10% 할인된 금액으로 사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 10% 할인 구매 가능
  • 최대 보유한도 200만 원
  • 전용 앱 또는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에서 사용처 확인
  • 가맹점 스티커 확인 후 결제 가능

예를 들어, 90,000원으로 100,000원어치 장을 볼 수 있으니 실질적으로 10% 절약입니다. 전통시장 이용이 잦은 사람일수록 유리한 구조입니다.

사용 가능 가맹점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게 더 이득일까?

소비 성향에 따라 유리한 선택지가 달라집니다.

소비 성향추천 혜택
소액 반복 결제 롯데, 신한, 하나카드 할인/캐시백 혜택
5만원 이상 한 번에 결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 우리카드 추첨 이벤트
명절, 대량 구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200만원 한도 활용

전통시장 할인카드 vs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뭐가 더 이득일까?


추가 혜택: 소득공제 및 동행축제 활용

전통시장에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 시 연말정산 소득공제율이 40%로 적용됩니다.
또한 정부 주관 ‘동행축제’ 기간(5월, 9월, 12월)을 활용하면 카드사별로 중복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전통시장 할인카드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각각 장점이 다릅니다.
핵심은 자신의 소비 패턴에 맞춰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명절과 동행축제 기간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전통시장 장보기, 이제는 단순한 소비가 아닌 똑똑한 절약의 시작입니다. 작은 소비에서 생활의 실천이 시작임을 기억하시고 함께 활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01234567891011
전통시장 온누리 카드

 

추천글:

앱테크로 하루 2700원, 1년에 99만원? 4050세대 모닝 루틴의 진화

 

앱테크로 하루 2700원, 1년에 99만원? 4050세대 모닝 루틴의 진화

최근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생활 속에서 소소하게 돈을 모으려는 '짠테크'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앱테크(App+재테크)'가 4050 세대 사이

together-find.com

2025년 은 투자 방법과 시세 분석 – 고수익 재테크 전략까지

 

2025년 은 투자 방법과 시세 분석 – 고수익 재테크 전략까지

서론: 왜 2025년에 은 투자인가?2025년 현재, 불경기 가운데서도 은 투자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비트코인 보다 ‘은’

together-find.com

 

반응형